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54

16. AutoCAD map에서 디지털화(Digitalizing) 및 shp 파일 생성 방법 : 단계별 가이드(dwg, dxf → shp) 안녕하세요. 오늘은 AutoCAD 프로그램 중 map 버전을 이용하여 디지털화하는 방법과 shp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Digitalizing은 현장에서 조사해 온 지도를 디지털화하는 작업으로 Polyline을 이용하여  하나의 Polygon을 만들어 주는 작업입니다.•  Matchprop(Ma) – 서식복사를 이용하여 linetype, lineweight 등을 동일하게 해줍니다.(dwg는 dxf로 다른이름으로 저장 후 shp 파일로 변환하시면 됩니다.) ※ Polyline와 line의 차이점 : 2024.08.14 - [AutoCAD] - 1. AutoCAD 초보자 가이드: 라인, 취소, 복구, 지우기, 복사, 원, 선 자르기, 다각형, 문자쓰기 •★ Dtext로 속성.. 2024. 9. 18.
7. 도시생태현황도 디지타이징 예시 - 초보자도 가능한 전문가 팁 안녕하세요.오늘은 위성사진을 이용해서 시가화 지역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지역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아래에 보이는 사진의 선은 대략적으로 디지타이징 한 것 입니다.) 첫번째는 시가화지역의 시설의 구분입니다. 시가화지역은 공동주거지, 단독주거지, 상업업무지, 교육시설 등 다양한 시설이 나타납니다.  제가 저번시간에 도로(8m 이상-각 시도별 작성지침 확인)를 먼저 디지타이징을 하면 다른 부분은 쉽게 가능하다고 알려드렸는데요.아래 사진을 보시면 공동주거지의 단지가 크게 위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리 큰 공동주거지 단지가 하나의 속성으로 구분되더라도 중간에 도로가 있으면 아래 그림처럼 구분해주셔야 됩니다.오른 편에 보시는 것과 같이 하천이 있으면 그 폭에 따라 디지타이징 해주.. 2024. 9. 18.
6. 도시생태현황지도 주제도 작성 방법 (2020년 이전) - 전문가 팁 오늘은 주제도 작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현장조사 전 디지타이징 작업을 시작해야겠죠?? 다음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한글야장과 현장사진을 확보하고 실내에서 엑셀야장으로 바꾸고 폴리곤이 있는 공간도형 데이터를 작성하게 됩니다. 그다음 속성데이터와 공간데이터를 조인하게 되면 기본주제도가 만들어지고, 이를 기준으로 유형화하여 비오톱유형도를 작성하고 평가하여 비오톱유형평가도를 작성합니다. 주제도 작성은 https://detective-hanzawa.tistory.com/38 으로 보시면 순서별로 정리가 되어있습니다.기타 주제도는 별도로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거나 향후 활용을 위한 별도의 도면을 발주자와 상의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대표비오톱 현황도, 우수비오톱 현황도, 철새 도래지 및 이.. 2024. 9. 11.
5. 도시생태현황지도 주제도 작성 방법(2020년 이전) - 단계별 설명 현재 야장의 형태는 조금 바뀌었는데 과거 야장도 한번 알아보시죠. >> 토지이용현황도 야장 작성토지이용현황도는 단독주택지, 공동주택지, 상업 및 업무시설지 등을 구분하고 분류기호, 토지이용유형의 비율, 규격(층고)을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야장에 작성을 합니다. 건설현장(시가화지역)과 산림, 논, 밭(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같은 지역은 토지를 덮은 도로나 포장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0으로 표시됩니다. 시가화지역 중 공동주택지는 식재되어 있는 식생을 조사하여 야장에 작성합니다.(가장 많이 나타나는 수종부터 위에서 쓰는 게 편합니다.)  산림지역과 논, 밭 등의 지역도 층위별 식생 및 식재되어 있는 종을 야장에 써주시고 수고, 흉고직경, 식피율을 써줍니다.(다양한 수종이 나올 때는 평균수고, 평균흉고직.. 2024. 9. 11.
4. 도시생태현황지도 주제도 조사 및 작성 방법(2020년 이전) - 전문가 팁(상세 분석 및 설명) 오늘은 도시생태현황도에서 가장 기초이지만 중요한 토지이용현황도, 토지피복현황도, 현존식생도, 동・식물상주제도 작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토지이용현황도는 현재 토지가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가 조사하는 것입니다. •실내에서 구획한 지도를 바탕으로 유형 확인 및 수정 – 세부 속성 구축하는 것으로•2013년 도시생태현황지도 지침에는 주된 토지이용유형과 부 토지이용유형 등 2개의 유형을 기록하게 되어 있습니다.   - 토지이용유형 점유율 30% 미만 → 주 토지이용유형만 기록•점유율은 5% 단위 표시•규격( 토지이용강도 판단): 건폐지역 건물 - 주 층수, 도로 – 폭(m)•폴리곤으로 구분된 토지이용유형 - 토지이용유형 확인 후 기호로 기록하도록 되어있습니다.•대상지 특성상 분류가 필요한 토지이용.. 2024. 9. 10.
3. 도시생태현황지도 기초공간지도 작성(2020년 이전) - 전문가 팁 오늘은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제일 기초가 되는 지도 작성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에 산림과 시가화지역의 경계에 대해서 말씀드렸는데요. 산림과 시가화 부분이 만나는 지점을 주연 부라고 합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두 개의 다른 속성(서식처, 비오톱 등)이 만나는 지점(연접)을 말합니다. 그 지역에 대해서 디지타이징을 잘해야 하는 이유는 항공사진과 위성사진은 거의 직각으로 사진을 찍기 때문에 그늘이 생기기 쉽습니다.(※ 수치지형도를 우선으로 할 것이냐 위성사진을 우선으로 할 것 인지는 지도의 생성 시기, 엔지니어 등의 역량에 달려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위성사진과 수치지형도를 함께 자세히 보면서 디지타이징을 해야 합니다.  개인의 재산권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엄청 예민합니다.  다시, 기초공간지도 .. 2024. 9. 1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