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산림생태학3 2. 식물군집 구조와 데이터 특성 - 생태계 군집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태계에서 나타나는 생물군집과 군집생태학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 ★생태계★▷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생태계는 '어느 지역의 모든 생물과 그것을 둘러싸는 비생물적인 환경과의 상호 작용으로 만들어진 시스템'으로 정의를 내릴 수 있습니다. ▷ ★생물군집★은 이전 시간에 공부한 식물군락과 군집과 유사하지만 광의적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1) 어느 지역에 사는 다양한 생물종의 모임을 생물군집(biological community)2) 식물군집, 동물군집, 균류군집처럼 분류군으로 한정할 수 있음3) 식물군집과 사는 장소를 조합해 산림식물군집, 초원식물군집 등 ※ 식물군집과 군락에 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2024.11.22 - [산림생태학] - 1. 식물군.. 2025. 1. 8. 1. 식물군집 구조와 데이터 특성 - 식물군락과 군집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물군락과 군집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산림과 관련된 지도,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는 아래 링크를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4.08.29 - [산림생태학] - 0. 산림공간정보 : 산림 지도와 데이터 제공 0. 산림공간정보 : 산림 지도와 데이터 제공오늘은 산림과 관련된 공간정보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산림공간정보는 크게 7개 정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산림청, 공공정보데이터 포털을 방문하시면 더 많은 자료가detective-hanzawa.tistory.com 가. 식물군집과 군락우선 식물군락과 군집은 동일한 뜻으로 알고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두 가지를 구분해보면: - ★식물군락★은 ' 식물의 사회학적 단위로 정량, 정성화하여 명명된 .. 2024. 11. 22. 0. 산림공간정보 : 산림 지도와 데이터 제공 오늘은 산림과 관련된 공간정보에 대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산림공간정보는 크게 7개 정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산림청, 공공정보데이터 포털을 방문하시면 더 많은 자료가 있습니다.) ※ 다들 아시겠지만 임상도는 원래 1:25,000, 1:50,000 정도가 기본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1:5,000 또는 더 세밀한 스케일의 지도가 완성되었습니다. ※ 용재수종에서 해송은 곰솔을 말합니다. 이렇게 7가지 산림공간정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토양도, 토양통 등등 토양에 관련된 자료는 '흙토람(https://soil.rda.go.kr/soil/index.jsp)' 에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행복한 하루 되세요. ※ 참고자료 : .. 2024. 8. 29.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