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자연환경복원4 2. 복원생태학과 생태적 복원의 개념 - 전문가 해설 2024. 8. 26. 1. 생태학과 복원생태학의 관련성 -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방법 ※ 위의 대상지는 비오톱이식공법, 산림표토포설, 소경목군락식재 등의 공법을 구분하여 복원을 하고 6년에 걸쳐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복원효과를 알아보았다.복원의 순서는 기본계획 및 설계, 대조구 모니터링(동일한 군락이나 유사한 복원 모델을 지정 후) - 시공 및 기초다지기 - 주변 대상지 유사 식생 이식 (모니터링 결과) - 복원식재 - 복원식재 후 모니터링 순으로 진행되었다. - 강현미(2014) 산림생태계 복원 유형별 모니터링을 통한 복원 연구 ◯ 복원방법에는 위의 내용에서 설명한 것 처럼 다양한 방법이 있음 자연식생구조를 모델로 녹지공간을 복원 및 조성하기 위한 식재기법 으로 보통식재, 보통이식, 모델식제(copy식재, 복사식재), 복사이식이 제시된 바 있으며, 모델식재는 모델로 하는 신람을 구체적으.. 2024. 8. 26. 0. 도시생태현황도 개요 - 필수 정보 1. 비오톱 개념•‘비오톱’이라는 의미는 과학용어로 생성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습니다.•뫼비우스(1877) – 굴양식을 대상으로 양식장을 하나의 ‘Social Community’라고 인식하고 ‘Superorganism(초유기체)’로 정의하였습니다(동・식물의 의존적인 커뮤니티를 이루는 개념으로 생태학의 기초개념 정립).•독일 생물학자 Dahl(1908) – ‘Biotope’ 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 ‘Biocenosis(생물군집, 생태공동체 등)’ 존속을 위한 복잡한 물리적 조건이라고 정의(최초의 ‘Biotope’ 용어)하였습니다. •Tansley(1935) – 생태계 개념 정립. 생태계 개념 발전과정에서 생태계를 비생물적 환경과 생물군집으로 정의하였습니다. ▷ ‘Biotope’을 생태계 개념에서 비생.. 2024. 8. 13. 0. 도시생태현황도 개념(Biotope) - 상세 분석 및 설명 도시생태현황도의 기본 개념인 Biotope는 Biotope = Bios(Life) + Topos(space)의 합성어이다. 국내에서는 특징이 구분되는 생물군집을 폴리곤(모서리와 꼭지점이 만나 닫혀있는 도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도시생태현황도는 도시생태계 문제 중 엔트로피, 문순환체계 단절, 생물다양성 감소 등 도시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이다. ※ 참고문헌 :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메뉴얼 https://detective-hanzawa.tistory.com/36 1.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방법 (2020년 이전) - 전문가 팁안녕하세요. 오늘은 2020년 이전에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8월에 '경기도 .. 2024. 8. 13.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