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오톱 개념
▷ ‘Biotope’을 생태계 개념에서 비생물적환경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
▷ ‘Biotope(비생물환경) + Biocenosis(생물군집) = Ecosystem(생태계)’ 였습니다.
2. 근대적 비오톱 개념
▷ 생물서식지 보전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비오톱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 Sukopp&Weiler(1988) : 공간적 경계를 가지는 특정 생물군집의 서식지를 정의하였습니다.
▷ Leser(1991) : 동・식물로 이루어진 어떤 생물사회 속에서 3차원적이고, 지역적으로 특정 지을 수 있는 무생물계와
생물계가 이루어진 생명공간으로 구분하였습니다.
▷ 비오톱의 생물의 서식지, 최소면적이 확보되어야 함, 다른 생물군집과 공간적 경계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동일 유사특성을 가지고 정기성(반복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3. 국내 도시생태현황도 활용되는 비오톱 개념
• 인간의 토지이용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아 특징지어진 지표면의 공간적 경계로서 생물군집이 서식하고 있거나 서식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공간단위를 말합니다.
4. 도시생태현황도 국내 작성 추진 현황(2020년 기준)


※ 환경부(2019)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매뉴얼
https://detective-hanzawa.tistory.com/5
0. 도시생태현황도 개요 - 필수 정보
1. 비오톱 개념•‘비오톱’이라는 의미는 과학용어로 생성 이후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습니다.•뫼비우스(1877) – 굴양식을 대상으로 양식장을 하나의 ‘Social Community’라고 인식하고 ‘Superorgan
detective-hanzawa.tistory.com
'도시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도시생태현황지도 주제도 조사 및 작성 방법(2020년 이전) - 전문가 팁(상세 분석 및 설명) (1) | 2024.09.10 |
---|---|
3. 도시생태현황지도 기초공간지도 작성(2020년 이전) - 전문가 팁 (2) | 2024.09.10 |
2. 도시생태현황도 기초자료 및 참고자료(2020년 이전) - 전문가 팁 (0) | 2024.09.10 |
1.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방법 (2020년 이전) - 전문가 팁 (0) | 2024.09.04 |
0. 도시생태현황도 개념(Biotope) - 상세 분석 및 설명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