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도시생태현황지도2

5. 도시생태현황지도 주제도 작성 방법(2020년 이전) - 단계별 설명 현재 야장의 형태는 조금 바뀌었는데 과거 야장도 한번 알아보시죠. >> 토지이용현황도 야장 작성토지이용현황도는 단독주택지, 공동주택지, 상업 및 업무시설지 등을 구분하고 분류기호, 토지이용유형의 비율, 규격(층고)을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야장에 작성을 합니다. 건설현장(시가화지역)과 산림, 논, 밭(녹지 및 오픈스페이스) 같은 지역은 토지를 덮은 도로나 포장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 0으로 표시됩니다. 시가화지역 중 공동주택지는 식재되어 있는 식생을 조사하여 야장에 작성합니다.(가장 많이 나타나는 수종부터 위에서 쓰는 게 편합니다.)  산림지역과 논, 밭 등의 지역도 층위별 식생 및 식재되어 있는 종을 야장에 써주시고 수고, 흉고직경, 식피율을 써줍니다.(다양한 수종이 나올 때는 평균수고, 평균흉고직.. 2024. 9. 11.
1.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 방법 (2020년 이전) - 전문가 팁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0년 이전에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과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8월에 '경기도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이 나오면서 비오톱 작성 방법 및 조사 등이 조금씩 수정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그전에 도시생태현황지도는 어떻게 작성하고, 어떻게 분석하는지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의의 • 도시생태현황지도는 특별시·광역시·시·군의 자연 및 환경생태적 특성과 가치를 반영한 정밀공간생태정보지도로서 각 지역의 자연환경보전 및 복원, 생태적 네트워크의 형성뿐만 아니라 생태적인 토지이용 및 환경관리를 통해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관리의 기초자료입니다. • 앞서 말씀드린 것 같이 '비오톱(Biotop) : 그리스어 Bios(Life, 생명) +Topos.. 2024. 9. 4.
반응형
LIST